가장 많이 본 글
-
알리바바그룹의 총수 Jack Ma(마윈)를 신문에서, 잡지에서 참 많이 접하게 된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알리바바그룹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Jack Ma의 카리스마 넘치는 눈빛 뒤에 과연 어떤 의도가 숨어있을까 ...
-
12 월 26 일 중국의 공업 및 정보화부 ( 工 业和信息化 部 , 이하 공신부 ) 는 11 개 기업에게 VNO 사업자 인증을 발부하였다 . 이번에 1 차로 인증을 받은 11 개 기업에는 완왕 ( 万网 ), 찡동샹청 ( 京东 商城 ) ...
-
예전부터 중국인들의 한국상품 구매대행이나 관광객들의 한국쇼핑 등을 지켜 보면서 한 - 중 간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에 큰 사업적 기회가 존재한다고 생각했는데 , 최근들어 이 사업적 기회를 포착한 서비스들이 빠르게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중국 안드로이드 모바일게임은 여러 개의 3 rd party 마켓과 플랫폼이 존재하고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 이들 마켓과 플랫폼들이 제공하는 통계수치들은 조사방법이 통일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 또한 취합된 자료가 존재하지 않고 통계...
김현종 한미 FTA를 말하다
한미 FTA에 대한 이해집단의 강력한 거부때문에
FTA는 사회 불균형만 초래한다는 인식이 많은 것 같다
노무현 정권 시절 통상교섭본부장을 맡았던 김현종씨가 쓴
이 책을 보면서 정부의 딜레마, 더 자세히 말하자면 통상교섭자들의
고충에 대해 이해해 볼 수 있었다.
김현종씨가 주장한 동시다발적 FTA 협상 전략은 유효했던 것 같다
지정학적으로 역사적으로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고심해야 하는
한국으로서는 강대국과의 FTA를 통해 정치적 이익을 도모하고
남북관계 정상화, 나아가 통일까지 생각해야 하는게 맞다
다만 아직까지 국내 정치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상황에서
FTA가 야기하는 여러 이해집단의 문제는 김현종씨, 노무현 대통령도 어쩔 수
없었던 듯 하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