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이 본 글

한국 스타트업 네트워크- 투자자편

살다 보면 세상 참 좁다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학연, 혈연, 지연 같은 매개체가 있다면 종종 모르는 사람도 참 가깝게 느껴지곤 한다. 이는 아마 대한민국 스타트업의 생태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스타트업, VC, 엔젤투자자, 엑셀러레이터 그 외 주체들이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는 소셜네트워크 안에서 스타트업 대표님들, 투자자들은 아마 한 다리 건너 아는 사이인 경우가 허다할 지도 모른다.
  "그럼 과연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의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라는 궁금증에서 시작하여 본문을 작성해봤다. 네트워크 안에서 스타트업 생태계의 주체들은 네트워크 안에 주어진 정보 또는 사회자본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려 할 것이다. 각 주체들은 네트워크 나 자신의 위치를 이용하여 정보, 자금, 인맥의 흐름을 통제하거나 이용할 수도, 오히려 불리한 위치 때문에 제약을 받을 수도 있다. 본문에서는 소셜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접근법으로 한국 스타트업 네트워크에 대해서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스타트업 전문매체인 플래텀에서 발행한 2014~2015 스타트업 투자동향보고서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보고서에서 50억 이상의 투자유치 케이스에 대해 나열한 연간 최고액 투자유치 스타트업 표(2년 치)를 사용하였으며 투자사와 스타트업의 관계 정보를 포함한 투-모드 네트워크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만약 A투자사가 B스타트업에 투자를 진행했다면 A와 B 간의 관계가 형성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50억 이상의 Institutional Money라고 볼 수 있는 케이스만 포함하였기 때문에 자료는 그보다 작은 수준에서 생성된 네트워크 관계를 반영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해당 수준의 투자가 이루어진 후에는 투자자의 역할이 스타트업의 성장에 더욱 중요 해 지는 만큼 서로 간의 관계가 갖는 의미가 더 크다고 간주할 수도 있을 것이다. 투자자, 대표적으로 벤처캐피털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스타트업의 프로세스 개선이나 경영 목표 설정하는데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기 때문에 벤처캐피털이 투자를 진행할 때는 자신의 과거  투자이력에 맞는 스타트업에 투자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스타트업을 매개체로 형성된 투자자들의 네트워크는 특정한 구조나 의미를 지니고 있을 것이다. 투자사와 스타트업의 투자관계로부터 얻은 매트릭스를 제곱하여 투자사와 스타트업의 네트워크를 각자 구할 수 있었는데 본편에서는 투자사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만 진행한다.

투자사 네트워크 분석 






자료에 대해 한 번 더 설명하자면 위 네트워크 구조도는 14~15년 플래텀 스타트업 투자동향 보고서의 자료를 기반으로 소셜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얻게 된 네트워크 구조이다. 총 90개의 노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드는 투자사들이고 이들을 연결한 라인들은 스타트업을 매개체로 한 투자사들 간의 관계이다. 

밀도 및 클러스터링 계수

 네트워크의 밀도는 0.32(최대밀도: 1)로 이는 실제 연결관계 대비 최대 가능한 연결관계를 반영한다. 투자사들이 서로 상당히 많은 연결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좌측의 투자사들의 연결관계가 우측에 비해 적은 것을 볼 수 있는데 러프하게 구분할 경우 변두리에는 비(非) 벤처캐피털, 중심에는 벤처캐피털이 많이 포진 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평균적으로 벤처캐피털이 더 다양한 스타트업 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기 때문인 것을 유추할 수 있다.  
 클러스터링 계수는 0.668로 상당히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네트워크 내에 군집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계수가 높을수록 네트워크 내에 서로 연결관계가 조밀하게 얽힌 노드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높은 클러스터링 계수로 보아 투자사들의 네트워크에는 서로 긴밀하게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그룹들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보시려면 필자의 브런치 블로그를 방문해주세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